학술지 규정
한방척추관절학회 논문 투고 규정
개요
투고자는 본 회에서 지정한 양식 및 사전 설정된 스타일을 사용하여 지정된 접수 기간 내에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원고의 분량은 A4(210 × 297㎜) 백색 용지로 편집하며, 원고는 Windows 기반의 한글(.hwp)로 글자 포인트 10pt(본문)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표지, 요약, 본문, 감사의 글, 참고문헌, 표, 그림 모두에 걸쳐 행 사이는 글 기준 150% 로 한다. 표지를 첫 페이지로 하여 각 장에 일련번호를 붙인 후 파일을 첨부한다.
저자는 연구 디자인에 따라서 연구 내용에 꼭 들어가야 할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원고에 반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무작위 대조 연구는 CONSORT, 진단 연구는 STARD, 관찰 연구는 STROBE, 체계적 고찰은 QUOROM과 MOOSE를 참고한다. 또한 침구 임상 연구는 STRICTA를 참고로 한다.
용어
학술 용어는 될 수 있는 대로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고, 한자는 최소한으로 사용할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번역이 곤란한 경우에는 영문/한문으로 쓸 수 있고, 필요할 경우 괄호 안에 한자를 같이 병기할 수 있다.
약어
약어는 표준 약어만 사용한다. 논문 제목과 초록에는 약어 사용을 피한다. 본문에 약어를 처음 사용할 때에는 정식 명칭을 먼저 쓰고 괄호 등을 이용하여 약어를 표기하며 이후에는 약어만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약어는 가급적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으나 표준 측정 단위의 약어는 예외이다. 무분별한 약어 사용을 금하며 최소한으로 사용한다. 제목이나 요약에는 약자를 쓰지 않는다.
고유명사, 숫자 및 측정치의 표기
인명, 지명, 고유명사는 원자를 사용하며,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길이, 높이, 질량, 부피 등의 측정 단위는 모두 미터법 단위(m, ㎏, ℓ, ㏄ 등)의 십배수로 활용한다. 온도는 ℃ 단위를, 혈압은 mmHg 단위를 사용한다. 혈액학적 수치와 임상 검사상의 검사치는 통상적인 단위나 국제단위(International Unit, SI)를 사용한다. 측정 수치와 단위 표시는 한 칸 띄어 쓴다. 다만 고전의 내용을 표기화하는 등 필요 시 寸, 尺, 斤, 兩 등을 사용하되 최소한으로 한다. 약품명, 상품명보다는 일반명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상품명의 표기가 결과의 평가나 추적 연구에 중요하다면 표기가 가능하다.
- 경혈명의 표기는 WHO에서 발간한 WHO 전통의학표준용어 (WHO-1ST)집과 WHO 침구경혈부위 국제표준서를 참고하여 표기 한다 .
한약 처방명은 한글 로마자 표기 + 정의 를 기반으로 한 번역의 형태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 한글 로마자 표기와 정의를 기반으로 한 번역의 알파벳 첫 글자는 대문자로 하며 , 한글로마자표기와 정의를 기반으로 한 번역 사이에는 한 칸을 띄운다 . 정의를 기반으로 한 번역은 탕이나 음을 decoction으로 , 산을 powder로 , 환이나 원을 pill로 , 단을 vermilion pill로 , 편을 tablet으로 , 정을 troche 로 한다 .
예 ) Cheongpyesagan Decoction한약명은 학명 또는 생약명으로만 표기해서는 안 되고 사용되는 실제 부위 또는 수치법을 적절한 영어로 표기하여야 한다 . 예 ) 감초 ( 炙 ) : Broiled root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논문의 양식과 작성 요령
분류
논문의 분류는 영어로 작성하며, Case Report, Original article 등 적절한 분류를 선택하여 영문으로 작성한다. (Times New Roman, 10pt, 장평 100, 자간 0, 줄간 130, 여뱅 위 8pt)
제목
제목은 논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어로 간결하며, 내용을 잘 전달하도록 표기한다. '무엇에 대한 연구' 또는 '무엇에 대한 고찰' 이란 표현을 피하도록 한다. 한글 제목은 함초롬돋움, 진하게, 14pt, 장평 100, 자간 -8, 줄간 130, 여백 위 8pt의 형식을, 영문 제목의 경우 Times New Roman, 진하게, 12pt, 장평 100, 자간 0, 줄간 130, 여백 위 8pt의 형식을 따른다. (영문의 경우 전치사, 접속사, 관사를 제외한 모든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한글 제목이 30자가 넘거나 영문 제목이 15단어가 넘을 때는 따로 단축제목(Running title)을 표제지 페이지 끝에 적어 넣는다. (한글의 경우 10자 이내, 영문의 경우 5단어 이내). 단축 제목은 함초롬돋움, 9pt, 장평 98, 자간 -8, 줄간 130 의 형식을 따른다.
저자 이름 (한글 혹은 영문, 예 : Gil Dong Hong)
소속 기관(한글 혹은 영문)
초록(한글 혹은 영문)
교신저자(한글 혹은 영문, 주소, 소속, 전화번호, E-mail 주소)
연구비 지원기관(한글 혹은 영문)
저자
논문 저자로 원고에 나열한 사람은 저자로서 자격이 있어야 한다. 각 저자는 연구 내용에 대하여 공적 책임을 질 수 있을 만큼 연구에 충분히 참여한 사람이어야 한다.
저자 자격은 ① 연구의 기본 개념 설정과 연구의 설계,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 공헌 ② 초고를 작성하거나 지적 내용의 중요 부분을 변경 또는 개선하는 데 상당한 공헌 ③ 최종 원고의 내용에 동의할 수 있는 경우에만 그 자격이 있다.
저자 각자가 연구에서 무슨 일을 맡았었는지를 편집인이 질문할 수도 있다.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제 1저자를 맨 앞에 적고 연구와 논문 작성에 참여한 기여도의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고 저자명 사이를 쉼표( , ) 로 구분한다. 저자들의 소속이 다른 경우 저자의 순서에 따라 그 소속을 줄바꿈으로 분리하여 나열한다. 제 1저자와 다른 소속을 가진 저자는 '1', '2', '3' 등 아라비아 숫자를 위첨자로 하여 저자명의 뒤, 소속 기관명의 앞에 동일하게 사용하여 표시한다. 제출된 논문의 수정책임자를 교신저자로 하여 저자 중 맨 뒤에 기재 후 해당 저자명 뒤에 '*' 를 위첨자로 표기한다. 교신저자는 제 1저자와 함께 제출된 논문의 심사과정 중의 논문 수정을 책임진다. 교신저자를 밝히지 않은 경우 제 1저자를 교신저자로 인정한다. 영문저자명은 '이름 성' 의 순으로 쓴다. 이름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저자 표기는 한글의 경우 함초롬바탕, 진하게, 10pt, 장평 100, 자간 0, 줄간 130, 여백 위 4pt의 형식을. 영문의 경우 Times new roman, 9pt, 장평 100, 자간 0, 줄간 130의 형식을 따른다.
저자 소속 표기는 한글의 경우 함초롬바탕, 8pt, 장평 100, 자간 -6, 줄간 130, 여백 위 4pt의 형식을. 영문의 경우 Times new roman, 8pt, 장평 100, 자간 -6, 줄간 130, 여백 위 4pt의 형식을 따른다.
초록
본 학회지의 논문 초록은 논문의 가시성과 검색 가능성을 높이고, 독자가 연구 내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초록은 영문으로 작성하며, ① Background ② Method ③ Result ④ Conclusion 의 순으로 총 250단어, 400자 전후로 작성한다. 각 항목은 연구를 요약할 수 있는 핵심적인 내용으로 간결하게 기재한다. 다만, 종설(Review article)이나 증례 보고(Case reports)의 경우 단일 문단의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초록 작성 시에는 약어 사용을 최소화하고, 참고문헌 인용을 피하며,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 배경 혹은 목적(Background or Objectives) : 왜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1~2문장으로 간단하고도 명료하게 기술한다. 여기에 기록된 목적은 원고의 제목, 그리고 서론에 개진되는 내용과 일치하여야 한다.
- 방법(Methods) : 첫 문단에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하였는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어떤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자료를 어떻게 분석하였고, 치우침(Bias)를 어떻게 조정하였는가를 기술한다.
- 결과(Result) : 전 문단에 기술된 방법으로 관찰 및 분석한 결과가 어떠하였다는 내용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한다.
- 결론(Conclusion) :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달된 결론을 1~2문장으로 기술하며, 이는 첫 문단에 기술된 연구의 목적에 부합된 것이어야 한다.
하단에 영문으로 논문의 핵심 개념을 표현할 수 있도록 주제어(Keyward)를 6개 단어 이내로 표기하는데, 가능하면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MeSH(Medical Subject Headings)에 수록된 어휘를 사용하거나 (http://www.nlm.nih.gov/mesh/MBro wser.html) WHO-IST 및 WHO WPRO 표준경혈위치에 수록된 어휘를 사용하되 경혈명은 병음보다는 WHO WPRO 표준경혈위치에 수록된 대로 ronanization에 입각하여 한글발음 경혈명을 기호화 함께 표기(경혈명(기호))하고, 한약처방명은 본문에서 기술된 방법에 의거하여 한글로마자 한 칸 띄고, 정의를 기반으로 한 번역의 형태로 표기한다.
본문 작성 요령
- 서론 : 연구의 목적과 이에 대한 간략한 배경이 언급되어야 한다. 논문의 목적을 기술하고 이 논문의 중요한 이유를 기술한다. 연구의 배경과 원리를 요약하고 참고문헌은 직접 관련된 것으로 제한한다. 관련된 주제를 광범위하게 재론하거나 나열하지 말고, 발표할 결과나 결론은 포함시키지 않도록 한다.
- 방법 : 실험동물 등 대상, 방법, 실험기구(제작사 및 기종 명시), 절차 등을 포함하되, 다른 연구자가 같은 방법으로 시행할 경우 재현할 수 있도록 충분하고도 자세하게 설명하여야 하고 결과의 통계적 검정 방법도 기재하여야 한다.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에는 환자, 대조군 등을 명백하게 제시하고, 다른 사람이 이 방법에 따라 동일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적는다. 특히 대상 질병을 확인한 방법과 관찰자의 주관을 통제한 방법을 설명한다. 기자재나 시약의 경우 이름과 괄호 안에 제작회사, 도시, 국가를 명기한다. 생소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참고문헌과 함께 그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 결과 : 논문에 나타난 결과를 확할 수 있을 정도로 통계학적 방법을 자세하게 기술하여야 한다. 가능하면 연구 소견을 정량화하고 측정 오차 또는 불확실성의 정도(예를 들면 신뢰 구간 등)를 표시하는 자료를 같이 제시한다. p값(p value)만 제시하는 경우와 같이 통계학적 가설 검정 결과에만 의존하여 중요한 정량적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연구자료가 표본일 경우 일반화하기 위해서 반드시 통계적 검증 절차를 거치며 전수조사이거나 사례연구일 경우 검정을 할 필요는 없다. 본문 중 연구 성적에 관한 서술을 할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평균 , 비율 , 또는 상관계수값을 표현하여 집단 간의 차이나 변수들의 관련성 크기 , 방향 등을 알 수 있도록 한다 . '무작위 ', '정상 ', '유의한 ', '상관성 ', '표본 '과 같은 기술적 전문 통계용어를 비전문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 분석과정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을 명시한다 . 내용은 도표의 순서와 같은 순으로 기재하되 본문의 표나 도해의 데이터를 반복하여 적어서는 안 되며 , 중요한 관찰 결과만을 강조하고 요약한다 .
고찰 : 연구의 새롭고 중요한 측면과 그로부터 나온 결론을 중심으로 작성하되 , 결과와 무관한 문헌 고찰은 피한다 . 논리적 순서로 기술하며 본문과 맞추어 표와 그림을 사용하는데 , 도표에 있는 모든 자료를 본문에 중복하여 나열하지 말고 중요한 요점과 경향을 기술한다 . 서론과 결과에 기술한 것을 중복하여 거론하지 않도록 한다 . 연구 결과의 적용 범위나 해석상의 한계 , 향후 연구에서 활용 가능성 등을 기술한다 . 또 관계된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 고찰하고 , 이 연구의 목적과 결론을 상호 연계시킨다 . 이때 자료에 근거하지 않은 결론이나 근거 없는 주장은 삼가야 한다 . 얻은 자료로 주장 가능한 새로운 가설을 제안하고 이를 확인하는 적절한 방안도 포함하여야 한다 .
결론 : 연구의 결과 중에서 중요하거나 새로운 소견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결론을 기술한다 . 경우에 따라 고찰에 결론을 병합하여 기술할 수 있다 .
감사의 글 : 필요한 경우 이 연구에 기여를 한 사람으로 저자에 포함되기에는 부족한 사람에 대한 감사의 글을 넣을 수 있다 . 여기에는 어느 역할에 대해 감사하는지 명백하게 표현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자료수집 , 재정적 보조 , 통계처리 , 실험분석 등 ), 저자는 그 사람에게 감사의 글에 이름이 나온다는 사실을 통보하고 사전에 동의를 받아야 한다 .
참고문헌 작성 요령
본문에 참고문헌을 표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문 중에 나오는 인용시 대괄호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여 참고문헌에 기재된 번호를 적어 표시한다 . 문장의 끝과 마침표 사이에 번호를 기재한다 . 문장에서의 인용이 여러 개일 경우 쉼표( , )로 번호를 구분하고 번호가 연속적일 경우 붙임표( - )를 넣는다 . 참고문헌을 작성할 시에는 NLM 스타일에 맞추어야 하며 , 예시로 작성된 참고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
참고문헌 예시는 하기와 같다.
[1] Kim JS, Lee MY, Park SW. A Systematic Review of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al Medicines. J Korean Med. 2020 Jun;41(3):45-62. ( 학술지 )
[2] Jung DI.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odern Korean Medicine. 3rd ed. Seoul: Korean Medical Books; 2021. p. 128-45. ( 단행본 )
[3] Jang H, Kim S, Choi J.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Treating Chronic Low Back Pain. In: Proceedings of the 12th East Asian Traditional Medicine Symposium; 2020; Busan, Korea. p. 73-9. ( 학술대회 )
[4] Lee KW, Park MJ.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Dietary Therapy [Internet]. Daejeon (K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20 [cited 2024 Mar 15]. Technical Report No.: KIOM-2020-ST-03. Available from: https://www.kiom.re.kr/eng/research/reports/KIOM-2020-ST-03.pdf ( 기술 보고서 )
[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Medicin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ternet]. [place unknow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te unknown] [cited 2021 Mar 15]. Available from: http://www.kiom.re.kr/knowledge/ ( 웹사이트 )
[6] Choi EK. Convergence of Korean Medicine and Modern Medicine: Ethical Considerations and Future Prospects. J Korean Med Ethics Res [Internet]. 2021 May [cited 2024 Mar 15];8(2):112-30. Available from: http://www.jkmer.or.kr/articles/id=78901 ( 웹사이트 )
[7] Supreme Court of Korea. 2020Do6853 (Oct. 17, 2020) ( 판례 )
- 864.0 KB